• [3기 청년기자단] [르포] "우리 모두가 백남기다!" 분노한 시민들, 배기훈 기자

[르포] "우리 모두가 백기다!" 분노한 시민들

 

 

<의경 앞에서 피켓을 들고 항의하는 시민>

슬픔을 딛고 분노해야 합니다.”

 

10월 1일 ‘백남기 농민 추모대회’에서 리본을 나눠주던 시민이 남긴 말이다.


지난 2015년 11월 14일 1차 민중총궐기 대회에서 물대포를 맞고 쓰러진 농민 백남기(69)씨가, 317일간 사경을 헤맨 끝에 올해 9월 25일에 숨을 거두었다. 서울대학교병원(이하 서울대병원)에서 사망진단서에 기재한 사망 원인은 “심폐정지, 병사”였다. 그 이후 경찰은 백씨의 시신에 대한 부검영장(압수수색검증영장)을 25일 당일 신청했다 기각되자 의견서 등을 덧붙여 27일 재신청, 서울지방법원의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부검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유족이 희망할 경우 부검 장소를 국립과학수사원이 아닌 서울대병원에서 진행할 수 있다. 2) 유족이 희망할 경우 유족 1∼2명, 유족 추천 의사 1∼2명, 변호사 1명의 참관을 허가한다. 3) 부검 시 시신의 훼손을 최소화한다. 4) 부검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한다. 영장의 유효 기간은 10월 25일까지이다. 이에 대해 백남기투쟁본부(이하 백남기대책위)에서는 부검을 적극 거부하며 매일 7시 고인이 안치된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서 촛불시위를, 10월 1일 ‘백남기 농민 추모대회’를 혜화 대학로에서 열 것을 밝혔다.


이 기사는 2016년 9월 30일, 10월 1일, 10월 2일, 10월 3일에 취재한 내용을 르포 형식으로 서술하는 기사임을 미리 밝힌다. 시간 순으로 서술하며, 날짜별로 소제목을 달았다.


9월 30일


9월 28일 오후 8시 30분쯤 종로경찰서에서 발표한 “부검영장 승인” 소식을 듣고, 나는 원래 쓰던 기사를 보류하고 백남기 농민에 대한 르포 기사를 쓰기로 마음먹었다. 11월 14일에 백남기씨가 쓰러진 이후 서울대병원에서 진료, 치료한 기록이 모두 있고 사인 또한 명확하므로 부검영장이 통과되지 않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 생각했지만, 한 차례 기각된 뒤 경찰이 영장을 재신청, 통과가 되자 작금의 상황이 불합리한 현실에 대한 기나긴 투쟁이 되리라 직감했었다. 그 상황을 기록으로 생생히 전하고 싶어 기사를 쓰기 시작했다.


우선 대학교에 조성된 분향소 몇 곳을 취재하기 시작했다. 먼저 홍익대학교를 방문하였다. 운동장 앞 게시판에 “추모의 벽”과 대자보가 붙어 있었고, 중앙 도서관 앞에 조촐한 분향소가 조성되어 있었다. “추모의 벽”에는 고인을 추모하는 글을 포스트잇에 적어 벽에다 붙여 두도록 하였다. 글 내용은 고인에 대한 추모의 마음과 국가폭력을 자행한 경찰, 정부에 대한 분노가 주를 이루었다. (개중에는 부검을 강행하는 경찰청장에 대한 욕도 적혀 있었다.) 다음은 벽에 붙은 글 중 일부이다.


“꽃잎처럼 흘러흘러 그대 잘가라… 편히 쉬세요.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 꼭 만들겠습니다.”, “상식이 통하는 사회를 바랍니다.”, “국가폭력에 분노합니다. 고생하셨습니다.. 편히 쉬세요.”, “미안합니다. 죄송합니다.”

 

 

 

<운동장 앞 게시판에 조성된 추모의 벽>

기사 더 보기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