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정치센터 3기 청년기자단] '세대공감,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 안세연 기자

세대공감,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
② 대한민국 30, 40대 개천에서 용 나는 것은 우리 시대에서만 가능했던 일

 

이전편에 계속..


1970년대 이후에 대한민국의 경제가 3저 호황을 누리며 빠르게 성장하였다. 한편으로는 경제가 성장할수록 교육열도 나날이 뜨거워졌다. 특히 부모세대들은 자신들의 어려웠던 삶을 자식들이 되풀이 하지 않길 원하는 마음에서 헌신적으로 자식들을 가르쳤다. 이런 헌신적인 교육열 덕분에 대한민국 여러 곳에서 소위 개천에서 용 난 인물들이 넘쳐났다. 

 

그러나 과거 계층상승의 사다리였던 교육 마저도 현대에서는 그 기능을 상실했다. 올해 5월 달에 통계청이 2016년 1/4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1분기(1∼3월) 소득이 가장 높은 5분위 계층의 교육비 지출은 66만5천461원으로 1분위 계층 지출(8만3천297원)의 8.0배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즉 소득 상위 20% 고소득층과 하위 20%저소득층 가구의 교육비 지출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으로 부와 가난의 대물림이 가속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가계수지 항목

1분위 전체가구 교육비 지출 

5분위 전체가구 교육비 지출 

교육비(원) 

83,297 

665,461 

자료 출처 : 통계청 ‘2016년 1/4분기 가계동향’

 

 이런 극단적인 사회상 변화를 경험한 계층은 바로 30~40대 계층이다. 이번 기사에서는 30~40대 3명을 인터뷰 하여 한국 사회는 개천에서 용 나는 사회인가에 그들의 생각을 들어 보았으며 인터뷰는 온라인 인터뷰로 진행하였다.

 

첫 번째 인터뷰 인물은 30대 후반 여성으로 두 아이를 키우는 가정 주부이자 직업상담사로 일하는 여성이다. 두 번째 인물은 과거 비서로 일하고 퇴직한 40대 중반 미혼 여성으로 현재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40대 초반의 SC제일은행 커머셜 기업금융부에서 기업금융 지점장인 미혼 남성을 인터뷰 하였다.
 

기사 더 보기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