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삼성바이오로직스 임직원 개인정보 노출 사태 관련
“삼성의 반노조·사찰 DNA 다시 확인됐다, 수사당국은 성역 없이 압수수색하라”
지난 6일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임직원 개인정보 노출 사태가 발생했다. 인사팀 공용 폴더가 모든 직원이 열람할 수 있는 상태로 공개된 것이다. 폴더 내에 담긴 내용들과 직후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대응은 너무나 충격적이다. 삼성그룹의 ‘반노조·사찰 DNA’가 다시 한번 확인됐다.
이번 사태로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측이 사내 심리상담센터 기록 파일을 ‘징계 폴더’로 분류한 사실이 드러났다. 노조 집행부의 인사기록을 ‘NJ’라는 별도 코드로 관리하고, 사측 인사팀장이 과거 미래전략실의 후신격인 삼성전자 사업지원TF 관계자에게 사내 인사고과와 노조 현황을 보고하는 내용도 폭로됐다.
사태가 발생한 다음 날에는 사측 임원이 보안팀을 동원해 노동조합 사무실 출입문을 강제로 개방하고 업무용 컴퓨터를 회수하려 들었다는 사실도 보도됐다. 그 과정에서 네트워크를 강제로 차단하는 일도 있었다.
일련의 내용이 모두 심각한 반사회적 범죄 수준이다. 특히 직원들의 심리상담 기록을 징계 폴더에 분류한 것은 그 저의가 대단히 의심스럽다. 제도적으로 보호받아야 할 상담기록을 사측이 보유한 것도 위법 소지가 크고, 애초에 심리상담센터가 직원의 정신건강 기록을 남겨 퇴사키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은 아닌지 노조에서 의혹을 제기할 정도다.
삼성의 반노조·사찰 행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2013년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폭로한 노조파괴 전략 문건에는 노동조합 설립을 주도하던 직원들을 ‘MJ(문제직원)’으로 분류하고 “가정사, 금전 문제 등 모든 방법 동원해” 노조 설립을 저지하겠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2015년에는 삼성물산 직원들이 노동조합과 민원인들을 실시간으로 사찰하며 상부에 보고한 사실이 적발돼 큰 논란을 사기도 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20년 무노조 경영 등으로 제기된 비판을 수용하고 법과 윤리를 엄격히 준수하겠다며 “대한민국의 국격에 어울리는 새로운 삼성을 만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이것이 새로운 삼성인가? 법과 윤리는 어디로 갔는가? ‘MJ’는 ‘NJ’가 됐을 뿐이고, 실시간 사찰은 심리상담센터를 통한 기록 남기기와 노동조합 사무실 강제 침입으로 변형됐을 뿐이다.
수사당국은 삼성전자 사업지원실과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증거인멸을 막기 위해 신속히 압수수색하고, 개인정보보호법, 비밀침해, 노조법 위반 등 민감 정보 관련 불법 전반에 대해 엄히 수사하라. 경영진에 대한 성역 없이 분명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2025년 11월 14일
권영국 정의당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