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권영국 대표, 혐중 폭력 시위 관련 "혐오와 증오가 설 곳은 이 땅에 없어야 한다"
[성명] 권영국 대표, ‘혐중 폭력 시위’ 관련 입장
“혐오와 증오가 설 곳은 이 땅에 없어야 한다”


우리 사회가 방치한 적대와 증오가 사람을 때렸다.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양꼬치거리에서 믿기 힘든 폭력이 벌어졌다. 윤석열 지지 집회를 개최한 뒤 행진을 하던 ‘자유대학’ 회원들이 인근 상가들을 배회하며 혐오 발언을 쏟아냈다. 폭행도 있었다.

집회 참가자들이 정당하게 영업하는 상인들과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을 위협한 이유는 이들이 “중국인”이라 여겨지기 때문이었다. 적대와 증오가 사람을 때렸다. 더는 외면해선 안 된다. 혐오가 만든 폭력에 단호히 반대한다. 사람을 혐오하고 폭행할 ‘자유’는 누구에게도 없다.

우발적인 충돌이 아니었다. 한국 내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시위는 철저히 사전에 기획됐다. 윤석열 이름을 내건 이들이 거리 곳곳에서 계획적인 폭력을 자행했다. 윤석열의 파렴치한 극우 선동과 무분별한 중국 음모론이 불러일으킨 폭력이다. 

국민의힘은 내란 공범에 이어 혐중 폭력 공범이 됐다. 폭력으로 치달은 혐오 정서에 단호히 선 그어야 할 정치인들이 여전히 혐오와 증오를 방치하고 있다. 낙선한 나경원 후보는 극우 집회의 구호와 언어들을 버젓이 홍보물에 활용했다. 낯뜨겁고 부끄럽다.

시대는 평등과 연대를 향해가고 있다. 배제와 차별의 정치가 아니라 모두를 지키는 정치가 필요하다. 혐오와 증오가 설 곳은 이 땅에 없어야 한다. 

정의당은 혐중 폭력 시위에서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시급성과 더욱 강력한 규제법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보복성 불이익 행위에 대해서만 형사 처벌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한 포괄적 차별금지법은 물론이고, 이미 해외 선진국에서 보편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증오 발언 금지법’의 필요성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을 약속한다.

2025년 4월 23일
권영국 정의당 대표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