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보도자료] 강은미 의원, 소방청이 비공개한 ‘대량위험물 제조소 등 전수검사 추진 결과보고서’ 공개


강은미 의원, 소방청이 비공개한 대량위험물 제조소 등 전수검사 추진 결과보고서공개

 

- 소방청 화학단지 등 대규모 위험물 산업단지 노후화에 대한 특별관리 필요의견 밝혀

- 2019~20213년간 전수점검 결과 조치건수 5,309건 중 87.1%가 부식, 균열 등 최초시공 후 건전성 미흡이 차지

- 강은미의원 산단노후화로 인한 화재, 폭발, 누출사고는 노동자, 주민 안전 심각하게 위협, 노후산단 문제 해결 위한 노후설비특별법 발의할 것

 

정의당 강은미 의원은 소방청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했던 대량위험물 제조소 등 보유사업장 전수검사비공개 결과보고서를 공개했다.

 

소방청은 2018년 고양 저유소 화재사건 이후 대량위험물 제조, 보유 사업장에 대한 전수검사를 진행했다. 검사 대상은 위험물 관리법상 위험물 지정수량의 3,000배 이상을 제조, 보유하는 사업장이다.

 

총 검사 대상은 사업장 413개와 사업장 내의 제조소 등 10,269개소이다. 이 중 2019~21년 실시한 검사대상 7,914개 제조소 중 적발대상 제조소 등은 4,020개로 51%에 달했고 조치건수는 5,309건으로 나타났다.

 

조치건 수 5,309 건 중 설비의 최초시공 이후 운영에 있어서 균열, 부식, 이탈 등 설비 노후화에 대한 건전성 미흡이 4,626건으로 나타났고 이 중 70%는 노후산단에서 지적됐다.

 

이에 대해 소방청은 대규모 위험물 산업단지의 경우 기공시기가 오래된 점을 고려하여 시설의 노후화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됨이라고 보고서에 적시했다. 그 외에도 안전관리자의 전문성 부족, 행위기준 준수 부족 등을 지적했다.

 

한편, 산업단지공단이 강은미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전국 1,257개 산업단지 중 산업단지공단이 관할하는 64개 산단에서 발생한 중대사고 133건 중 74건이 화재, 폭발, 누출사고였다. 얼마 전 7명이 중상을 입은 울산 SK지오센트릭 사고, 올해 초 여천NCC 폭발사고에서 보이듯 대량 위험물을 보유한 노후화학단지에서 일어나는 화재, 폭발, 누출사고는 곧바로 대형 재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강은미 의원은 보고서에서 위험물 관리법을 담당하는 소방청도 노후산단이 특별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구미 불산 누출사건 10주년이 되는 오는 927일 노후설비의 관리·감독 책임을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도 부여하는 노후설비 특별법을 발의할 예정이다. 하반기 국회에서 노동자, 지역주민 안전을 위협하는 노후산단 대책이 반드시 논의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2017~2022년 산업단지공단 관할 64개 산업단지 중대사고 현황>

 

(사고집계 기준) 사망사고 재산피해 1억원 이상 유해화학물질누출사고 언론 중대보도

 

순번

지역

산단명

발생일시

업체명

발생유형

산단

조성연도

1

경남

창원

2017.01.19

낙원

산업재해

1974

2

울산

울산미포

2017.01.25

한화케미칼울산3공장

산업재해

1962

3

울산

울산미포

2017.02.03

현대중공업

산업재해

1962

4

전북

군산

2017.03.10

대림씨엔에스

산업재해

1990

5

경기

시화

2017.03.16

신대양제지

화재사고

1987

6

울산

온산

2017.04.21

에스오일2공장

화재사고

1975

7

전남

여수

2017.05.30

한화케미칼

화재사고

1967

8

부산

녹산

2017.06.01

엔케이텍

화재사고

1990

9

경기

반월

2017.07.13

종근당바이오

화재사고

1977

10

전남

여수

2017.07.14

한화케미칼

산업재해

1967

11

전남

여수

2017.07.21

여천발전소

정전

1967

12

경기

반월

2017.08.11

호계

화재사고

1977

13

경기

반월

2017.08.18

유신메라민공업

폭발사고

1977

14

경남

창원

2017.08.20

진해 STX 조선해양

폭발사고

1974

15

전남

여수

2017.09.08

롯데첨단소재

산업재해

1967

16

전남

대불

2017.09.09

송학

산업재해

1989

17

경기

반월

2017.09.27

인터플렉스

가스 및 화학물질누출

1977

18

울산

울산미포

2017.10.24

롯데케미칼

화재사고

1962

19

부산

녹산

2017.10.03

성산기업

산업재해

1990

20

전남

대불

2018.01.15

천일산업

산업재해

1989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