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부동산정책 실패로부터 배워야” … 변창흠 후보자에 서민 눈높이 주택정책 당부
- 대통령 부동산 가격 안정화 의지 강했으나 이명박·박근혜 정부보다 문재인 정부에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더 높아
- 심상정, “문정부 부동산 정책이 중상? 집없는 900만 서민 눈높이와 맞지 않아”
- 심상정, “문정부 들어 전국민이 부동산 때문에 우울증에 걸릴 정도 … 정책실패 냉정하게 인정해야 다시 시작”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변 후보자에게 서민 눈높이에 맞는 주택정책을 펴도록 당부했다.
심 의원은 변 후보자가 올해 8월 국회 업무 보고에서 문재인 정부의 주택정책에 대해 역대 정부 중에서 중상 이상이라고 평가한 점을 지적하고, 과연 일반 국민의 인식과 부합하는 평가인지 의문을 표시했다.
|
〈8월 국회 업무 보고 발언〉
- 송석준 질의: “문 정부 주택정책 성적을 매긴다면, 역대 정부 중, 상중하로 따지면 어느 정도?” - 후보자 답변: “저는 중상 이상 된다 생각” “(이,문,박) 그 셋 비교하면 지금 정부가 제일 낫다고 생각합니다” |
|
〈대통령 발언〉
“부동산 투기와 전쟁에서 지지 않겠다”(2020년 1월 7일 신년사) “일부 지역은 서민들이 납득하기 어렵고 위화감을 느낄 만큼 급격히 상승한 곳이 있는데, 이런 지역들은 가격이 원상회복돼야 한다” (2020년 1월 14일 기자간담회). |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들어 여러 차례 부동산 가격 안정화에 강한 의지를 표명해왔다. 그러나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하는 실거래가 지수 상승률을 보면,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정부 중 문재인 정부에서 가장 높았다. <표 1>에서 보듯이, 아파트의 경우 상승률이 이명박정부 △7.5%, 박근혜정부 22.1%, 문재인정부 62.3%에 달한다.
〈표 1〉이명박, 박근혜, 문재인정부 시기 실거래가 지수 상승률 비교
|
구분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
|
(08/3~13/2) |
(13/3~17/03) |
(17/05~20/10) |
||
|
아파트 |
서울 |
△7.5% |
22.1% |
62.3% |
|
수도권 |
△10.7% |
18.8% |
35.8% |
|
|
전국 |
7.1% |
17.5% |
18.8% |
|
|
공동주택 |
서울 |
△6.6% |
18.4% |
47.5% |
|
수도권 |
△9.6% |
15.5% |
29.5% |
|
|
전국 |
3.8% |
16.3% |
17.8% |
|
- : 한국부동산원, 실거래가 지수 (2020.12.22.). 심상정 의원실 계산.
심 의원은 “이런데도 후보자는 역대 정부 중 중상 이상은 된다고 생각하는가? 만약 장관이 되면 국민들 삶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거 정책을 담당하시는데, 집 없는 900만 서민들 눈높이와 맞지 않은 인식이라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심 의원은 변 후보자에게 강력한 정책 의지가 있는지를 묻기도 했다. 심 의원은 “문재인정부 들어 전국민이 부동산 때문에 우울증이 걸릴 정도. 문재인 부동산 정책의 실패를 냉정하게 인정해야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심 의원은 변 후보자에게 지난 문재인정부 부동산/주택 정책에서, 내가 장관이었으면 하지 않았을 정책을 꼽아볼 것을 주문하면서 다음 두 가지 사례를 지적했다.
|
# 사례 1: 보유세 강화 실기 (재정특위 권고안보다 후퇴한 정부안) - 2018년 7월 대통령 직속 재정특위가 종부세율을 0.05~0.5%pt. 올리고, 공정시장가액비율을 100% 안을 제출하자, 하루도 지나지 않아 정부가 후퇴 안을 발표. 새 정부 출범 후 부동산시장은 당연히 보유세가 올라갈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는데, 정부가 후퇴하자 정부의 부동산가격 억제할 의지가 없음을 확인한 것. 이후 주택가격이 폭등.
# 사례 2: 임대사업자 특혜 확대 - 2017년 12월 임대주택 실태를 파악하고 임대료 상승을 억제한다는 명분으로 다주택 임대사업자에게 각종 세제(재산세, 양도세 감면 등) 혜택을 주는 임대주택 등록제 확대. 이는 시장에 유동성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투기세력에게 꽃길을 깔아 준 것과 다를바 없음. |
심 의원은 변 후보자에게 서민의 눈으로 부동산정책 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심 의원은 “앞으로 제대로 부동산 정책을 펴야 한다. 부동산 보유세 강화, 공공택지의 공공적 활용, 임대사업자 규제, 주거복지 강화 등 많은 과제가 산적해 있다”며, “문재인정부 부동산정책의 실패를 뼈아프게 인식해야 한다. 서민들은 부동산정책의 실패로 하루하루가 힘겹다. 서민의 눈으로 부동산정책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인사청문회 예상질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사전보도자료입니다. 인사청문회가 진행됨에 따라 실제 질의응답 내용을 참고하여 보도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