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은미 의원, 광주·전남 통합 및 자치구 간 경계 조정 입장
광주·전남 통합 관련 논의 멈추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 지역의 중대 현안인 광주·전남 통합 논의는 진정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합니다.
이용섭 시장의 깜짝 제안이 준비 없는 정치적 이벤트로 지적받지 않으려면,
향후 이와 관련한 상설 협의 구조 및 의미 있는 진전을 이뤄가야 합니다.
이미 광주·전남 주요 공동 현안을 논의하는 상생발전위원회가 있었음에도
민선 7기에 활발한 논의 및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해 내지 못한 점도 돌아봐야 합니다.
통합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를 진행해야 할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구체적인 준비도 더 꼼꼼해야 합니다.
여러 비판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비대화, 지방 인구 감소 등 시대적 과제에 적극 응답 해야 합니다.
지방정부 통합 추진은 쉽지 않은 결단입니다.
누군가의 일방적인 희생으로 결정되기 어렵습니다.
시·도민의 행복한 삶의 질 향상을 최우선으로 고민해 가야합니다.
행정 통합이라는 거대 담론에 기존 군 공항 이전, 공공기관 이전 대응,
혁신도시 고형폐기물(SRF) 열병합발전소 가동 문제, 코로나 방역 협력체계 등 현안도 많아
상생발전위원회 등을 통한 논의도 함께 필요합니다.
광주시는 향후 논의 과정에 정의당을 비롯한 다양한 목소리와
지역 시민사회, 우리 지역 미래세대 등을 대화 테이블에 넓게 구성해
지금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공감대를 높여가는 적극적인 발걸음을 보여야 합니다.
광주시의 자치구 간 경계 조정이 필요합니다.
광주시의 자치구 간 경계 조정의 필요성은 지난 2014년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자치구 간 인구 편차가 크고, 선거구가 불합리적으로 획정되어 있는 문제,
구도심 공동화에 따른 문제 등에 대안을 마련해야합니다.
주민들에게 편리한 행정을 구현하기 위한 자치구 간 경계 조정이 필요합니다.
모두가 원칙에는 동의하고 있습니다.
결국 개별적인 정치적 이해타산 때문에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현재 만들어져 있는 구간 경계 조정을 위한 연구용역 결과에서는 3가지 안이 제출 되었습니다.
이 안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결정해야 합니다.
이번만큼은 우리 지역 균형 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이해득실을 넘어 결단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