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교 학교급식 조리실 산재 발생3년째 증가,
4년간 2,365건, 이상온도 접촉 85.7%, 절단?베임?찔림 24.9% 최다 비율
여영국 “산재 예방위해 교육청 내 산안위원회 설치, 내실 운영 필요”
초중고등학교의 급식 조리실 산재 발생건수가 3년째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여영국 국회의원(창원시 성산구)은 2015년에서 2018년까지의 학교급식 조리실 산재발생건수를 분석한 결과 2015년 475건, 2016년 546건, 2017년 618건, 2018년 726건으로 지속적으로 늘어났으며 4년 동안의 총 발생건수는 2,365건으로 나타났다. 2015년 대비 2018년의 발생건수 증가율은 52.8%였다.
학교급식 조리실 산재의 발생 유형은 넘어짐이 678건 28.7%, 이상온도 접촉(데임)이 649건으로 27.4%로 대부분의 유형을 차지하고 있었고, 기타 498건 21.2%, 직업관련 질병(근골격계 등) 249건 10.5%, 절단?베임?찔림이 161건 6.8% 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으로 발생건수 규모가 가장 많은 교육청은 경기(279건), 서울(85건) 순이었으며, 2018년 학교급식 관련 인력(영양교사, 영양사, 조리사, 조리원) 규모대비 산재발생건수(%/명)은 전체 평균 1.02% 수준이었으며, 세종(1.84%), 경기(1.69%), 전북(1.49%) 수준이었다.
이에 대해 여영국 의원은 “학교 급식 조리실은 학교내 공간 중 산재발생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이다. 산재관련 예방교육, 환경 조성 등의 산업재해의 예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시도교육청별 산업안전위원회 설치비율이 매우 낮고 여전히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며, “산업안전위원회를 보다 내실 있게 운영하고, 학교 내에서 가장 산재발생 가능성이 높은 급식 조리실에 대해서는 다각적인 산재예방책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여영국 의원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9월 23일 기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중 서울, 부산, 대전, 세종, 강원, 충북, 전남의 7개 교육청만이 현재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으며, 그 중 실제로 위원회 회의를 개최한 이력이 있는 곳은 세종, 충북, 전남 교육청 3곳 밖에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