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심상정_국정감사9] ‘고용 악화’의 가장 큰 책임, 최저임금 인상 아닌 긴축재정 때문. 정부는 균형재정 신화에서 벗어나야

[기획재정부 국감] 보도자료 (2)

 

1. “‘고용 악화의 가장 큰 책임, 최저임금 인상 아닌 긴축재정 때문. 정부는 균형재정 신화에서 벗어나야

- 2018년 예산안, 재정수지 18.1조원으로 재정긴축 편성

- 세계 선진국들, 다 확대정책 쓰는데 대한민국만 긴축재정 펴고 있어 (아래 표 참조)

- IMF 경제위기 이후 정부 재정정책은 인플레이션 관리와 신자유주의적 재정건전성에 과도하게 집착 (아래 그림 참조)

 

2. “2019년 추경, 재정의 경기대응 효과를 상실한 초미니 추경

- 453.9조원, IMF 위기 이후 최소규모 추경

- 추경안 확정이 통상 한달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불과 2달 만에 예산안 확정된 것

- 초과세수 24(1~8월까지)가 포함된 최소 균형재정만이라도 편성되었다면 고용계수 기준 175,500, 취업유발계수 기준 249,600명이 추가 고용될 수 있는 상황

- 경제부총리는 지난 86일 이재용 삼성부회장을 만나는 날 일자리가 20만개 25만개 나온다면 광화문 앞에서 춤이라도 추겠다말한 바 있는데, 결국 춤 못추는 이유는 기재부 스스로의 의지부족 때문.

 



 

1.“‘고용 악화의 가장 큰 책임, 최저임금 인상 아닌 긴축재정 때문. 정부는 균형재정 신화에서 벗어나야

 

[2018년 예산편성] 긴축재정으로 경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가능했나?

 

김동연 부총리,

- 지난 2017122018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실 때, 3년 만에 ‘3%대 성장 복원을 전망했지만 지금은 어떤가? OECD, IMF 등에서는 한국 경제성장률을 2.7%로 하락 전망하고 있다.

- 지금 부총리가 보는 경제상황은 어떤가?

- 전망이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부총리가 생각하는 원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2018년 경제정책 방향> 새정부 경제 패러다임 전환의 원년

3%대 성장 등 거시경제 안정화로 구조개혁 추동력 확보

 

저는 그 이유 중 하나가 긴축재정이라고 생각한다.

- 정부가 제출한 2018년 예산안에는 총지출 429.0조원으로 총수입 447.1조원으로 재정수지는 18.1조원 재정긴축 편성이었음

- 그런데 재미있게도 그 다음 페이지에는 재정수지가 28.6조원이라고 적시하면서 확장적 재정정책 기조라고 해 놓았음.

- 정부의 재정수지의 기준은 무엇인가? 통합재정수지인가? 관리재정수지인가?

 

<> 2018년 예산안

 

 

 

 

(조원, %)

 

’17예산

(A)

'18예산안

(B)

증감

(B-A)

 

%

총지출

400.5

429.0

28.4

7.1

총수입

414.3

447.1

32.8

7.9

- 국세

242.3

268.2

25.9

10.7

<> 재정수지와 국가채무

 

 

 

(조원, %)

 

’17예산

(A)

’18예산안

(B)

증감

(B-A)

재정수지

28.3

28.6

0.3

(GDP 대비 %)

(1.7)

(1.6)

(0.1%p)

국가채무

669.9

708.9

39.0

(GDP 대비 %)

(39.7)1

(39.6)

(0.1%p)

 

재정수지라는 것은 한 해 정부가 써야할 돈과 국민들로부터 거둔 돈의 차이. 국민으로부터 많이 거두면 재정흑자(긴축재정)이고, 조금 거두면 재정적자(확대재정)아니냐. 결국 경제 내에 돈이 풀리느냐 줄어드느냐 문제이다.

- 단순한 이야기를 너무 어렵게 얘기하지 말자. 세계적으로 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 아니냐. 기획재정부가 OECD에 통계 제출할 때도 스스로 통합재정수지를 보내는 것 아니냐

- 과거 IMF 경제위기 이후, 정부가 인플레이션 관리와 신자유주의적 재정건전성에 과도한 집착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본다.

 

봐라

- [그림. 1970~현재까지 재정수지 추이] IMF이후, 정부는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를 제외하고는 모두 긴축재정 정책을 펴고 있다. 오히려 과거 고도성장기에 확대재정 정책은 경제성장의 마중물이었다.

- [. OECD회원국 재정수지 현황] 세계 선진국 다 확대재정 정책 쓰는데 한국만 긴축재정하고 있다.

 

정부의 2018년 긴축재정 예산안을 보았을 때, 과연 경제팀이 과연 경제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이해가 있나 싶었다.

- 불평등과 양극화를 해소해야 하고, 경제민주화를 해야 하고,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감한 산업정책이 필요했다. 또한 복지 및 사회안전망 확충으로 전환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했다.

- 60년 낡은 경제를 바꾸는 일이다. 어찌 고통이 없겠는가. 그 고통을 인내할 수 있도록 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을 최대한 지원하는게 재정정책이다.

- 그런데 기재부 무엇을 했나? 최저임금 인상시키고 긴축재정으로 경제에 돈이 돌지 않게 한 것 아닌가?

 

국가재정은 가계와 다르다. 국가차원에서 세수와 세출은 별개의 문제이며, 만약 국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빚을 내서라도 써야 한다고 본다.

- 패러다임 전환이라는 목적과 그에 따른 정책패키지를 기재부가 제시하면, 그에 따라 어디에 돈을 써야 할지에 대해 논의를 하면 되는 것이다.

 

 

[그림] 1970~현재까지 재정수지 추이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b00001.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95pixel, 세로 410pixel

OECD 회원국 재정수지 현황

(GDP 대비, %)

 

일반정부 재정수지(financial balances)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호주

4.2

4.1

3.8

3.0

2.0

1.8

1.1

1.5

0.5

오스트리아

5.3

4.4

2.6

2.2

2.0

2.7

1.0

1.6

0.7

벨기에

5.4

4.0

4.1

4.2

3.1

3.1

2.5

2.5

1.0

캐나다

3.9

4.7

3.3

2.5

1.5

0.2

0.1

1.1

1.0

체코

5.4

4.2

2.7

3.9

1.2

2.1

0.6

0.7

1.6

덴마크

2.8

2.7

2.1

3.5

1.2

1.1

1.5

0.4

1.0

에스토니아

2.2

0.2

1.2

0.3

0.2

0.7

0.1

0.3

0.3

핀란드

2.5

2.6

1.0

2.2

2.6

3.2

2.8

1.8

0.6

프랑스

7.2

6.9

5.1

5.0

4.1

3.9

3.6

3.4

2.6

독일

3.2

4.2

1.0

0.0

0.1

0.5

0.8

1.0

1.3

그리스

15.1

11.2

10.3

8.9

13.2

3.6

5.7

0.6

0.8

헝가리

4.5

4.5

5.4

2.4

2.6

2.6

1.9

1.7

2.0

아이슬란드

9.6

9.7

5.6

3.7

1.8

0.1

0.8

12.6

1.5

아일랜드

13.8

32.1

12.7

8.0

6.1

3.6

1.9

0.5

0.3

이스라엘

5.7

3.7

2.9

4.8

4.1

3.3

2.1

2.1

2.1

이탈리아

5.3

4.2

3.7

2.9

2.9

3.0

2.6

2.5

2.3

일본

9.8

9.1

9.1

8.3

7.6

5.4

3.6

3.4

3.5

라트비아

9.1

8.7

4.3

1.2

1.2

1.5

1.4

0.1

0.5

룩셈부르크

0.7

0.7

0.5

0.3

1.0

1.3

1.4

1.6

1.5

네덜란드

5.4

5.0

4.3

3.9

2.4

2.3

2.1

0.4

1.1

뉴질랜드

2.9

7.3

4.2

2.3

0.7

0.2

0.2

1.2

0.9

노르웨이

10.3

11.0

13.4

13.8

10.8

8.7

6.1

4.0

4.4

폴란드

7.3

7.3

4.8

3.7

4.1

3.6

2.6

2.3

1.7

포르투갈

9.8

11.2

7.4

5.7

4.8

7.2

4.4

2.0

3.0

슬로바키아

7.8

7.5

4.3

4.3

2.7

2.7

2.7

2.2

1.0

슬로베니아

5.8

5.6

6.7

4.0

14.7

5.5

2.9

1.9

0.0

스페인

11.0

9.4

9.6

10.5

7.0

6.0

5.3

4.5

3.1

스웨덴

0.7

0.0

0.2

1.0

1.4

1.6

0.2

1.2

1.3

스위스

0.5

0.4

0.7

0.4

0.4

0.2

0.6

0.3

1.1

영국

10.4

9.5

7.6

8.2

5.6

5.7

4.3

3.3

1.8

미국

12.8

12.2

10.8

9.0

5.5

5.0

4.3

5.0

3.6

OECD

8.5

8.1

6.8

6.0

4.3

3.6

3.0

2.9

2.0

한국

-

-

-

1.2

1.5

1.4

1.2

2.6

-




 

OECD 회원국 재정수지 현황

(GDP 대비, %)

 

일반정부 재정수지(financial balances)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호주

4.2

4.1

3.8

3.0

2.0

1.8

1.1

1.5

0.5

오스트리아

5.3

4.4

2.6

2.2

2.0

2.7

1.0

1.6

0.7

벨기에

5.4

4.0

4.1

4.2

3.1

3.1

2.5

2.5

1.0

캐나다

3.9

4.7

3.3

2.5

1.5

0.2

0.1

1.1

1.0

체코

5.4

4.2

2.7

3.9

1.2

2.1

0.6

0.7

1.6

덴마크

2.8

2.7

2.1

3.5

1.2

1.1

1.5

0.4

1.0

에스토니아

2.2

0.2

1.2

0.3

0.2

0.7

0.1

0.3

0.3

핀란드

2.5

2.6

1.0

2.2

2.6

3.2

2.8

1.8

0.6

프랑스

7.2

6.9

5.1

5.0

4.1

3.9

3.6

3.4

2.6

독일

3.2

4.2

1.0

0.0

0.1

0.5

0.8

1.0

1.3

그리스

15.1

11.2

10.3

8.9

13.2

3.6

5.7

0.6

0.8

헝가리

4.5

4.5

5.4

2.4

2.6

2.6

1.9

1.7

2.0

아이슬란드

9.6

9.7

5.6

3.7

1.8

0.1

0.8

12.6

1.5

아일랜드

13.8

32.1

12.7

8.0

6.1

3.6

1.9

0.5

0.3

이스라엘

5.7

3.7

2.9

4.8

4.1

3.3

2.1

2.1

2.1

이탈리아

5.3

4.2

3.7

2.9

2.9

3.0

2.6

2.5

2.3

일본

9.8

9.1

9.1

8.3

7.6

5.4

3.6

3.4

3.5

라트비아

9.1

8.7

4.3

1.2

1.2

1.5

1.4

0.1

0.5

룩셈부르크

0.7

0.7

0.5

0.3

1.0

1.3

1.4

1.6

1.5

네덜란드

5.4

5.0

4.3

3.9

2.4

2.3

2.1

0.4

1.1

뉴질랜드

2.9

7.3

4.2

2.3

0.7

0.2

0.2

1.2

0.9

노르웨이

10.3

11.0

13.4

13.8

10.8

8.7

6.1

4.0

4.4

폴란드

7.3

7.3

4.8

3.7

4.1

3.6

2.6

2.3

1.7

포르투갈

9.8

11.2

7.4

5.7

4.8

7.2

4.4

2.0

3.0

슬로바키아

7.8

7.5

4.3

4.3

2.7

2.7

2.7

2.2

1.0

슬로베니아

5.8

5.6

6.7

4.0

14.7

5.5

2.9

1.9

0.0

스페인

11.0

9.4

9.6

10.5

7.0

6.0

5.3

4.5

3.1

스웨덴

0.7

0.0

0.2

1.0

1.4

1.6

0.2

1.2

1.3

스위스

0.5

0.4

0.7

0.4

0.4

0.2

0.6

0.3

1.1

영국

10.4

9.5

7.6

8.2

5.6

5.7

4.3

3.3

1.8

미국

12.8

12.2

10.8

9.0

5.5

5.0

4.3

5.0

3.6

OECD

8.5

8.1

6.8

6.0

4.3

3.6

3.0

2.9

2.0

한국

-

-

-

1.2

1.5

1.4

1.2

2.6

-

 

[그림] 최근 10년간 재정수지 추이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6a702eae.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42pixel, 세로 325pixel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통합재정수지

15.8

-17.6

16.7

18.6

18.5

14.2

8.5

-0.2

16.9

24.0

(GDP대비,%)

1.4

-1.5

1.3

1.4

1.3

1.0

0.6

0.0

1.0

1.4

관리재정수지

-11.7

-43.2

-13.0

-13.5

-17.4

-21.1

-29.5

-38.0

-22.7

-18.5

(GDP대비,%(

-1.1

-3.8

-1.0

-1.0

-1.3

-1.5

-2.0

-2.4

-1.4

-1.1

 

통합재정수지

- 당해연도의 일반회계, 특별회계, 기금을 모두 포괄한 수지로서 회계-기금간 내부거래 및 차입, 채무상환 등 보전거래를 제외한 순수한 재정수입에서 순수한 재정지출을 차감한 수치

·통합재정수지 = 세입(경상수입+자본수입)-세출 및 순융자

관리재정수지

- 재정건전성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성기금 수지를 제외한 수치

·관리재정수지 = 통합재정수지 - 사회보장성기금수지(사회보장성성금 수입 - 사회보장성기금 지출)

* 사회보장성기금 : 국민연금, 사학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2.“2019년 추경, 재정의 경기대응 효과를 상실한 초미니 추경

 

 

김동연 부총리,

- 지난 453.9조원 추경안을 제출했다. 지금 이 추경 편성시기와 규모에 대해 어떤 입장이냐?

 

이 추경 제출시기는 이례적으로 어느 때보다도 빨랐다. 추경편성이 검토에서 작성되기까지 통상 28~29, 한달 정도 걸리는 것을 생각하면 2월 말 또는 3월 초에 판단한 것이다.

- 예산안 확정된 지 불과 2달 만에 추경안이 편성된 것이다. 당시 초과세수와 관련된 정보가 있었을 텐데 왜 그런 판단을 했는가?

 

추경경과: 45일 추경안 제출/ - 521일 국회 통과

 

< 재정 총량표 >

(조원, %)

 

’17

결산

‘18

본예산

‘18년 추경

증감

(B-A)

정부안(A)

확정(B)

총 수 입

430.6

447.2

447.7

447.7

-

(증가율)

(7.2)

(7.9)

(8.1)

(8.1)

 

총 지 출

406.6

428.8

432.7

432.7

0.02

(증가율)

(5.6)

(7.1)

(8.0)

(8.0)

 

?재정수지

18.5

28.5

31.5

31.4

+0.1

(GDP대비, %)

(1.1)

(1.6)

(1.7)

(1.7)

 

?국가채무

660.7

708.2

700.5

700.5

-

(GDP대비, %)

(38.2)

(39.5)

(38.6)

(38.6)

 

 

1~8월까지 초과세수가 24조원(재정동향)에 달한다.

- 이 초과세수까지 포함하면 2018년 통합재정수지는 40조에 달하고 GDP 대비 2.3%에 이르는 긴축재정 효과를 가져왔다.

 

세수추계의 잘못도 잘못이지만, 추경을 통해 경기대응력을 높여야 했는데, 기재부는 사상 초유의 초미니 추경으로 스스로 그 효과를 상실해버렸다. 이에 대한 입장은 무엇인가?

 

<> 최근 10년간 추경규모

 

추경 규모

시기(국회통과)

2010

-

 

2011

-

 

2012

-

 

2013

17.3

57(418일 제출)

2014

-

 

2015

11.6

724

2016

11.0

92

2017

11.0

722

2018

3.9

521

 

한국은행은 (관리재정수지를 기초로 하는) 재정충격지수를 발표하면서 정부가 초과세수로 인해 2년 연속 긴축재정을 했다고 발표했다.

- 2017년 재정충격지수 본예산 0.14, 추경 0.18로 확장적 재정편성을 했지만, 초과세수 14조원으로 20171~3분기 긴축재정

- 2018년 재정충격지수는 본예산 0.05, 추경 0.09로 거의 0에 가까운 균형재정 수준으로 편성

- 결국 3~4월 총지출 대비 0.9% 추경편성으로 경기대응을 허비

 

경제부총리는 지난 86일 이재용 삼성부회장을 만나는 날 일자리가 20만개 25만개 나온다면 광화문 앞에서 춤이라도 추겠다말한 바 있다.

- 2018년 초과세수 포함한 통합재정수지 기준으로 볼 때 최소 균형재정만 편성이 되었다면, 고용계수 기준 175,500, 취업유발계수 기준 249,600명이 추가 고용될 수 있는 상황

- 부총리가 광화문에서 춤을 추지 못하는 이유는 자신 때문으로 결국, 부총리가 말하는 고용상황의 어려움은 기재부의 의지부족, 전망실패, 판단 미스에 따른 김동연 참사인 셈

 

한국은행 산업연관 분석(2016)에 따른

- 고용계수(전산업 평균): 4.5, 취업유발계수(전산업 평균) 6.4

 

<재정충격지수>

정부가 의도한 재량적 재정수입과 지출만을 추출한 뒤 전년도와의 비교를 통해 재정정책 기조를 판단하는 지표로, 국제통화기금(IMF)이 개발. 정부의 재정 운용에 따라 발생하는 재정수지 변동분이 명목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양(+)의 값을 가지면 정부가 재정정책을 경기 팽창적으로 펼치고, (-)의 값을 가지면 경기 긴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