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브리핑

  • HOME
  • 뉴스
  • 브리핑
  • [보도자료] 녹색정의당 총선 후보자 호남권 합동유세 열려



[보도자료] 녹색정의당 총선 후보자 호남권 합동유세 열려

- 17일 광주서 전국합동유세 시작…영남 충청 강원 수도권 등

- 비례 1번 노동, 2번 녹색 전략공천…3번과 4번 일반 경선

- 2년 순환제, 한국 정치사 최초 도입…새로운 정치 실험 주목

 

녹색정의당이 제22대 국회의원선거 후보자를 선출하기 위한 첫 합동유세를 광주에서 개최한다.

 

녹색정의당 광주시당은 17일 오후2시 광주 하남근로자복지관에서 22대 국회의원후보 선출선거 전국합동유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16일 현재까지 호남권에서는 광주 광산을 김용재, 서구을 강은미, 전남 목포시 박명기, 전북 전주시병 한병옥 후보가 등록하였으며, 비례대표로는 권영국, 김윤기, 신현자, 이보라미 후보가 등록을 마쳤다.

 

특히 녹색정의당은 비례대표 1번에 시민경쟁력을 확보하고 노동중심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인물을 전략명부로 공천하고, 2번은 녹색을 대표하는 후보로 배정할 예정이다.

 

또한 비례 3번과 4번을 일반경쟁명부로 지정해 당내 경선을 실시한다. 최종 4명의 후보가 비례대표 후보로 등록했으며, 이외 후보들은 여성할당 50%이상, 장애인할당 10%이상의 기준으로 모두 지도부가 공천할 예정이다.

 

또한 녹색정의당은 이번 총선에서 한국 정치사에 최초로 '비례대표 2년 순환제'를 도입한다. 

 

문정은 광주시당 위원장은 “그동안 대표해야할 부문과 분야에 비해 정치적 자원이 적은 진보정당 입장에서 비례대표 2년 순환제는 민주노동당 때부터 더 다양한 목소리를 원내정치에 반영할 실험적인 수단으로 제시되어왔다”면서 “22대 총선에서 녹색정의당은 비례대표 2년 순환제를 기반으로 노동, 녹색, 정치적 소수자와 다양한 진보 분야를 대표하는 목소리를 최대한 많이 정치의 중심에 세울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당선된 정치인들이 2년간 쌓은 의정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2026년 지방선거에 원내 정치 경험과 역량을 갖춘 후보들을 지역구 후보로 출마시킬 계획”이라면서 “이를 통해 더 많은 진보적 가치를 녹색정의당 안에 담으면서도, 국회의원 개개인이 가진 특권을 축소하고 다양한 분야를 대표하는 이들이 정책 스피커를 나누는 대안으로서 한국 정치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끝>

 

첨부. 22대 총선 녹색정의당 호남권 및 비례대표 출마자 프로필

 

참고. 비례대표 2년 순환임기제 : 독일 녹색당의 사례

 

비례대표 2년 순환임기제는 서독 녹색당이 1980년 창당과 함께 처음 시행한 제도다. 독일식 연동형 비례대표제에서 연방의원은 지역구와 전국구(정당명부 비례대표)로 나눠 선출되는데, 서독 녹색당은 정당명부를 통해 전국구(비례대표)로 선출된 의원이 임기 중 절반인 2년만 연방의원직을 맡고 사임한 뒤에 지방의회, 주의회에 진출하거나 사회운동에 복귀하도록 의무화했다. 이를 따르지 않고 법정 임기 4년을 다 채울 경우에는 차기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하게 규정했다. (달리 해석하면, 전국구 의원에게 2년 순환임기제와 법정 임기+차기 출마 금지의 두 선택지를 부여했다고도 할 수 있다.)

 

당시 녹색당이 2년 순환임기제를 채택한 주된 근거는, 정당 안에서 의원에게 권력이 과도하게 집중되지 못하게 방지하겠다는 것이었다. 독일에서는 이미 오래전에 사회민주당이 노동계급 대중이 주도하는 체제 밖 정당으로 출발했음에도 결국은 연방의원이 주도하는 과두제 정당으로 변질된 역사적 경험을 한 바 있다. 녹색당은 이를 의식하면서, 연방의원에게 당 내 권력이 집중되지 못하게 하는 여러 장치를 고안했다. 의원 급여를 노동자 평균 임금 수준으로 조정한 것이나 당직-공직 겸직을 제한한 것이 그런 장치들이었고, 전국구 2년 순환임기제도 그 일환이었다. 창당 당시 ‘대안정당’을 꿈꾸었던 녹색당은 연방의원이 연방의회를 거점으로 개인 권력을 구축하기보다는, 주의회(한국으로 치면, 지방자치단체)와 연방의회, 사회운동을 오가며 좀 더 넓은 맥락의, 혹은 새로운 유형의 대중정치가로 성장하길 바란 것이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