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은 현대중공업 임시주주총회에서 현대중공업의 인적분할에 대한 반대의사를 명확히 하라!
국민연금의 신뢰문제가 또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이번에는 현대중공업이다.
오는 2월 27일 현대중공업(주) 임시주주총회가 열린다. 이번 총회에서 현대중공업은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 현대건설기계, 현대로보틱스 등 4개 회사로 인적분할 하는 안건을 다룰 예정이다.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은 물론, 울산동구청과 동구 의회는 현대중공업의 인적 분할이 결국, 현대중공업 최대주주인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65)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장남 정기선 전무(34)의 후계 작업을 하기 위한 포석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울산시의회에서도 분할 및 사업장 분리에 대한 반대 결의문이 상정되어 처리를 앞두고 있다.
이런 와중에 현대중공업은 인적분할이 조선산업 위기극복을 위한 기업구조개편이라며, 주주총회에서 인적분할을 밀어붙이고 있다.
현재 국민연금은 지난해 12월22일 기준 현대중공업 지분 8.07%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정몽준 전 현대중공업 회장(10.15%)보다는 적지만 계열사인 현대미포조선(7.98%), 범현대가인 KCC(7.01%)보다 많은 보유량으로, 국민연금이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할 경우 현대중공업의 인적분할은 그 명분을 잃고, 원점에서 재검토 할 수 있게 된다.
국민연금은 2015년 삼성의 합병 찬성 이후 문형표 이사장이 특검에 구속되면서 가장 중요한 국민의 신뢰를 잃고 있다. 지난 1일 연금의 임원과 사장들이 모여 ‘국민연금 신뢰제고 실천결의대회’를 가진 것도 이러한 위기의식의 반영인 것이다.
이러한 때 이번 현대중공업 임시주주총회는 국민연금의 신뢰회복에 대한 의지를 확인하는 중요한 가늠자가 될 것이다.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국민연금은 지난 결의대회에서 스스로 밝힌 것처럼, 투자 결정의 책임과 역할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첫 시금석이 될 현대중공업의 지배 구조 개선과 후계 구도를 위한 이번 주주총회의 인적분할에 대해 명확히 반대 의사를 밝힐 것을 촉구한다.
2017년 2월 13일 (월)
국회의원 윤 소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