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김제남_국감보도] 산업단지공단, 안전은 뒷전 땅장사 몰두

 

산업단지공단안전은 뒷전 땅장사 몰두

- 49천여 기업 입주한 64개 산단 안전전담 업무인력은 고작 7명뿐 -

최근 조성 산단 분양해 1,800억 원 수익해마다 500억 원 임대수입 -

 

구미산단 불산 유출남동공단 유독물 유출에 이어 올해에도 여수산단과 울산산단의 가스폭발 사고 등 30여 건의 산업단지 내 대형사고가 이어지는 가운데산업단지를 관리하는 공공기관인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이 안전관리는 뒷전인 채 땅장사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제남 의원(정의당산업통상자원위원회)이 산단공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안전관리 전담인력은 고작 7명에 불과했으며 지역본부 겸임인력 23명을 포함해도 30명에 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산단공은 전국 산업단지 1,089개 중 64개 산단을 관리하고 있으며해당 산단에 49천여개의 기업이 입주해 있다겸임인력을 포함한 30여 명이 49천여개 입주기업에 대한 안전관리를 제대로 할 수 있을리 만무하다끊이지 않는 산단 대형사고의 원인으로 산단공의 책임 또한 무겁다는 지적이다.

 

ㅇ 산단공 안전인력 총 30

본사(안전비상계획실)

지역본부(지사)

30

7(전담)

23(겸임)

※ 출처 한국산업단지공단김제남 의원 제출자료

 

이렇게 안전이 뒷전일 수밖에 없는 배경에는 산단공의 주된 관심사가 땅장사에 있기 때문이다산단공은 최근 조성완료하거나 조성중인 김해울산아산장성오송 산단 분양을 통해 1,800억 원에 달하는 수익(분양가-조성원가 차액)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산단공은 아파트형 공장물류센터파이프랙(원자재이송경로), 시설물 임대 등으로 매해 500억원에 이르는 임대수익을 올리고 있어 산단공 떴다방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최근 조성완료조성중인 산단의 조성가 및 분양가 비교표

(출처 한국산업단지공단단위 백만원)

단지명

총액 비교

분양 – 조성

총액 차액

조성총액

분양 총액

김해1

552,125

597,039

450

김해2

18,323

19,998

17

오송(청주)

985,154

1,063,184

780

울산

356,631

397,421

407

아산

253,425

261,534

81

장성

124,389

136,961

126

합 계

1,861

*조성총액 부지매입 조성비용(이주대책비조성비기반시설설치비직접인건비 등)

*오송울산산단의 경우용지보상 진행중으로 공단에서 용지매입비를 추정한 조성원가임.

 

산단공의 땅장사는 과거에도 여러차례 지적되어 왔다. 2007년 감사원 감사에서 경남 창원공단 내 월림단지 용지를 영세 중소기업에 분양하면서 조성원가를 터무니없이 부풀려 약 33억원의 양도차익을 남기려 했던 것으로 밝혀진 바 있고(평당 매입가 48만원분양가 83만원), 광주 첨단국가산업단지 분양에서는 1년 전 매입가보다 55%나 높여서 용지를 분양하기도 했다(1당 매입가 89천원분양가 138천원).

 

이에 그치지 않고 산단공은 2014년 창원 산단 LG전자의 R&D(연구개발연구복합단지 건립관련 301억원 매각 약속(MOU)을 깨고 100억원 가량 많은 399억을 요구하여 LG전자의 연구복합단지 건립사업 철회라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

 

또한 산단공은 최근 10년간(2003~2013) 보유 부동산을 매각하여 1,377억의 처분이익을 거두었고, 2014년 이후 보유 부동산 매각계획상의 금액도 1,0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그뿐 아니라 산단공이 노후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사업을 통해 새로운 부동산개발사업에 혈안이 되어 있다는 비판도 계속되고 있다.

 

산단공은 구미반월.시화남동 등 산단 구조고도화 사업 명목으로 공장용지를 전용하여백화점과 호텔컨벤션센터오피스텔아파트주유소주차장 건립 등 국가산업단지의 존립 그 자체를 위태롭게 할 수 있는 개발사업에 몰두하고 있는 모양새다.

 

그러나 구조고도화라는 명목으로 말만 거창했지 입주 기업들을 위한 산업 집적기반시설 등 인프라 구축과 실질적인 지원혜택은 실종된 상태이다그리고 민간 투자 중심으로 진행하면서 수익성 있는 사업에만 몰릴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산업단지 입주 기업지원의 공공성 상실은 여전히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제남 의원은 산단공이 산업단지의 개발 및 관리와 기업체의 산업활동 지원이라는 설립목적을 방기한채 수차례의 지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땅장사에만 몰두하고 있다고 질타하고, “더군다나 매번 사고가 날때마다 안전 강화를 약속해놓고 고작 7명의 안전전담 인력만으로 전국 산단을 관리하고 있다는 사실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국민들이 크게 분노할 일이다고 지적하며, “산단공은 본연의 임무인 산업단지 안전과 입주 기업의 지원활동에 전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