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도자료] 조국 사면 이후 정의당 긴급 좌담회 "교육, 불공정, 기득권, 분노 혹은 체념" 취재요청


<조국 사면 이후 정의당 긴급 좌담회 취재요청>

[개요]
- 제목 : 정의당 긴급 좌담회 “조국 사면 이후, 우리가 멈추지 말아야 할 이야기 : 교육, 불공정, 기득권, 분노 혹은 체념”
- 일시 : 2025년 8월 20일(수) 오후 7시 (~ 오후 9시 예정)
- 장소 : 광화문 워크토크 (종로구 삼봉로 95, 101동 3층)
        * 오프라인 참석자 약 20명 예정 / 유튜브 생중계 병행
- 주최 : 정의당
- 사회 : 권영국 정의당 대표
- 좌담 
· 박권일(미디어사회학자, <한국의 능력주의> 저자) - 한국의 능력주의 교육이 만든 그들만의 세상
· 여미애(정의당 성북구위원회 부위원장, 서울시교육청 학부모정책자문위원) - 그때, 대학 수시전형 교육 현장의 증언
· 최성용(연구자, 성공회대 박사 과정) - ‘공정’으로 설명되지 않는 분노

※ 현장 참석자가 20명으로 제한됩니다. 취재 원하시는 기자께서는 미리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1. 언제나 정론 보도를 위해 노력하시는 귀 언론사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2. 한국 사회를 양쪽으로 갈라놓았던 ‘조국의 강’, 조국 전 장관이 수사를 받고 형을 살고 사면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일명 조국 사태로 인해 우리 사회에 던져진 수많은 질문들은 제대로 발화되지도, 그 응답을 듣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조국 사태가 던진 수많은 논의에 대해 우리는 제대로 이야기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단순히 찬반이 아니라 진실, 그리고 이해와 대안을 이야기해야 합니다. 

3. 정의당은 이런 고민을 나눌 수 있는 두 번의 기획을 준비했습니다. 그 첫 번째 자리로 조국 사태가 우리사회에 던진 질문은 무엇인지를 좌담회 형식으로 편하게 풀어보고자 합니다. 

- 교육이 어쩌다가 기득권들을 위한 불공정 사다리가 되었는지, 그에 대해 청년들이 느끼는 분노라고 표현하기에도 부족한 그 감정은 무엇인지, 어떤 논의가 시작되어야 조국의 강이 우리사회에 의미있는 계기가 될 것인지를 논의해보고자 합니다.
- 사회학자 박권일(<한국의 능력주의> 저자), 학부모이자 사교육 종사자인 여미애(정의당 성북구 부위원장, 서울시교육청 학부모정책자문위원), 최성용(연구자, 성공회대 박사과정) 세 분을 모셨습니다.
* 9월 중 김누리 중앙대 교수를 모시고 ‘한국 교육과 86세대의 한계, 그리고 이재명 정부(가제)’에 대해 논의하는 두 번째 자리를 준비할 예정입니다. 

4. 사면이냐 아니냐로 마무리될 수 없는 ‘조국 사태’의 문제에 관하여 논의하는 이번 좌담회에 대한 기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취재를 요청드립니다.

2025년 8월 18일
정의당 공보팀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