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명 결정을 둘러싼 논의에 대한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 입장
광장에서 우리는 윤석열 퇴진을 넘어 평등으로 나아가기 위해, 사회대전환을 향해 나아가는 동지로서 함께 싸웠습니다. 그 과정에서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 참가 단위들은 ‘윤석열들 없는 나라, 차별금지법 있는 나라, 노동이 존엄한 나라, 기후정의가 당연한 나라’라는 공동의 지향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퇴진은 한국 사회를 변화시키는 여정의 첫걸음일 뿐입니다.
광장의 목소리가 사회대전환으로 이어지려면 대선 국면에도 그것이 이어져야 했습니다. 우리 사회의 억압과 착취, 차별에 맞서 사회대전환을 위해 싸울 수 있는 정치가 부재하기 때문입니다. 각자의 공간에서 활동해온 연대회의 참가 단위들이 거듭 우경화하는 거대 양당 정치와 불평등에 맞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뜻을 모은 것은 그 때문입니다.
일찍이 연대회의는 ‘가자 평등으로!’를 공동대응을 위한 당명으로 삼아 선거에 임할 것을 결의한 바 있습니다. 그것이 연대회의에 함께 하는 단위들의 회원(조합원)들과 선거인단, 평범한 사람들의 열망을 온전히 담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난 4월 27일 정의당 대의원대회에서 ‘민주노동당’이 변경안으로 결정됐고, 5월 5일까지 당원 투표를 가질 예정입니다. 이는 연대회의가 애초 고민하고 제시한 안과는 다른 것이기에 연대회의와 함께 하는 각 조직들로서는 당혹감을 느낄 수밖에 없습니다.
연대회의는 ‘정의당’이라는 플랫폼을 활용하는 대신, 연대회의에 함께 하는 단위들과 선거인단 모두가 함께 치루는 선거임을 상징하는 당명으로 대선을 치르기로 했고, 정의당의 당명이 바뀌지 않는다면 공동의 대선 대응은 중단될 수밖에 없음을 합의한 바 있습니다. 그렇기에 광장의 열망을 담아내거나 새로운 주체를 호명하지 못하고, 과거를 소환하는 듯한 호명이 우려스러운 것은 사실입니다.
며칠 사이 연대회의 선거인단으로 함께 하는 각 단위에서는 많은 토론이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거대 양당 정치를 넘어 사회대전환을 지향하는 이들의 우려와 열망, 간절함 역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연대회의에 함께 하는 조직들은 우리가 처한 정치·사회적 조건이 녹록치 않음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 안의 차이가 여전하다는 점 역시 알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대선 공동대응을 향한 우리의 여정을 포기해선 안 된다고 뜻을 모았습니다. 광장의 열망과 가치를 담아낼 수 없는 기득권 정치세력만 남은 대통령선거를 보내선 안 된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고통스러운 고심의 결과, 대선 기간에 한정해 사용하되 우리가 지향하고자 하는 가치를 새롭게 담아내보자는 연대회의 참가 단위들의 의지를 확인했습니다. 한시적 사용에 국한해 ‘민주노동당’ 당명 변경의 찬성 표결을 요청하는 정의당 대표의 입장도 확인했습니다. 이에 연대회의는 이 문제를 둘러싼 우리 안의 갈등을 지속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크고 작은 아쉬움을 딛고, 우리가 현재 처한 조건을 인정하고,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자고 뜻을 모으려 합니다.
광장의 열망을 담을 후보가 대통령선거운동 기간에 존재하길, 그 성과가 이후 체제전환으로 나아가는 정치의 밑거름이 되길 희망합니다. 아쉬운 과정 끝에 당명 후보가 ‘민주노동당’으로 정해졌지만, 어쩌면 당명이 우리가 내딛고자 하는 여정의 핵심은 아닐 것입니다. 우리 안의 갈등을 지속하기보다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앞으로 나아갈 것을 제안합니다.
전체 한국 사회에서의 위치를 놓고 보면 우리 안의 차이와 갈등의 역사는 사소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거대 양당 체제에 맞서 평등을 위한 대통령 선거를 치러야 한다고 생각하는 민중운동 진영이 함께 싸우는 것입니다. 지난 시기 광장에서의 투쟁과 연대회의가 공유하는 가치를 고려해 우리의 여정이 중단되지 않길 희망합니다. 지리멸렬한 기득권 정치, 엘리트들의 불평등 정치에 맞서 다시 힘차게 우리의 길을 열어낼 것을 간절히 호소합니다. 함께 합시다.
2025년 4월 30일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 참가단위 일동
사회대전환 대선 연대회의 참가단위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