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여성위원회, 세계 월경의 날을 맞이하여
- 안전한 생리대, 무상 보편적 지급 생리대를 촉구한다.
오늘 5월 28일은 월경의 날이다. 보통 여성들이 28일을 주기로 5일정도 월경을 하는 의미를 담아 5월 28일을 월경의 날로 정하고 있다. 2016년 가난한 학생이 깔창으로 생리대를 사용하고 있어 충격을 준 바 있고, 2017년 일회용 생리대에서 유기화합물 검출과 이후 라돈 생리대 등 생리대 안전성 문제가 사회적 의제로 제출되었다.
여성의 생식을 비롯한 재생산권 보장을 위해 첫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월경의 문제는 이제 더 이상 여성 개인의 책임이 아니라 보편적인 권리로 보장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여성들은 “내 몸이 증거다”라며 안전한 생리대와 보편적 지급을 요구하고 사회적 해결을 촉구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정의당은 일회용 생리대 건강 영향 평가 조사 청원을 제출하여 청원을 실현했고, 값비싼 생리대 문제를 국정감사에서 제기하면서 생리대의 안전성·경제성·공공성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생리대에서 검출되는 유해물질은 예전보다 줄어들고 생리대 전성분표시제도 걸음마 단계이지만 시작됐다.
그러나 여전히 ‘안전한 생리대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아직 진행형이다. 우리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지금 추진되고 있는 건강영향 본 조사를 충실하게 진행할 것을 촉구한다. 문제를 제기한 당사자 여성을 비롯한 민·관 협력이 더 확장되길 바란다. 무엇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환경부 뿐 아니라 식약처, 질병관리본부가 보다 협력을 강화하고 교육부, 여성가족부 등의 범부처 협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충실한 조사사업을 위해서 노출검사 등을 위한 충분한 예산 지원을 촉구한다.
이미 깔창 생리대 문제에서 드러났듯이 저소득층 생리대 사각지대 문제가 심각하다. 기업들은 안전성 문제를 해결한다면서 생리대 가격을 마구 올리고 있어 생리대를 둘러싼 양극화가 벌어지고 있다.
근본적으로 여성의 월경을 사회적 권리로 발전시키는 과감한 시각의 변화가 필요하다. 낙인효과가 우려되는 저소득층 대상의 부분적 생리대 지원을 뛰어 넘어, 여성의 재생산권을 사회적을 보장해야 한다. 이미 뉴욕, 스코틀랜드에서 생리대를 무상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4월 여주시의회에서 무상생리대 지원 조례가 통과되었다. 오늘 권수정 시의원과 정의당 서울시당 등 여러 단체가 청소년 생리대 보편적 지원 조례를 추진하기 위해 ‘서울시 여성청소년 생리대 보편지급 운동본부를 출범시킨다. 정의당 여성위원회는 적극 지지한다. 서울이외 타 지역도 함께 할 수 있도록 정의당은 적극 노력할 것이다.
월경은 이제 모든 여성의 권리로 보장되어야 한다. 안전한 생리대, 무상생리대, 공공 생리대 실현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
2019년 5월 28일
정의당 여성위원회 (위원장 박인숙)
※ 문의 여성위원회 김가영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