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강은미 국정감사 보도자료] 복지분야 산하기관 남녀 육아휴직 약 4배 차이나


복지분야 산하기관 남녀 육아휴직 약 4배 차이나
 

- 최근 5년간 복지분야 산하기관 7(아동권리보장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인구보건복지협회 등) 육아휴직 남성 21.6%, 여성 82.3% 사용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현황, 남성 3.6%, 여성 8.5%

- 대부분 기관 미사용사유 개인사정 다수, 미신청 사유 별도 파악하지 않아

- 강은미의원,“저출생 고령화 해결이 핵심과제인 부처 산하기관 육아휴직 저조 자체가 심각한 문제지적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은 복지분야 산하기관 7(아동권리보장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인구보건복지협회,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장애인개발원)의 최근 5년간 남녀 육아휴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경우 82.3%(412/593), 남성의 경우 21.6%(52/221)로 약 4배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했다.

 

해당 산하기관 7곳 중에서도 이용률이 가장 낮은 곳은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 여성 78.8%(26/33), 남성 10.7%(3/28), 여성+남성 47.5%(29/61)로 나타났다. 아동권리보장원은 여성 65.7%(23/35), 남성 20.0%(3/15), 여성+남성 52%(26/50), 한국보육진흥원은 여성 54.6%(182/333), 남성 16.6%(3/18), 여성+남성 52.7%(185/351)으로 뒤를 이었다.

 

해당 기관에서 제출한 육아휴직 미사용 사유는 개인사정(본인의사), 개인 자유의사에 따라 신청이 대부분이고, “미신청 사유 별도 파악하지 않음도 나타났다.

 

한편, 산하 기관의 출산휴가를 살펴보았을 때, 여성·남성 모두가 100% 출산휴가를 사용했다. 휴가기간은 여성 평균 87.4(), 남성 9.21()로 나타났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현황의 경우 산하기관 여성은 8.5%(26/575), 남성은 3.6%(4/211)로 매우 낮은 것이 확인됐다. 기관에서 각각 제출한 미사용사유에 따르면 개인사정, 개인선택이 주로 나타났고, “육아기 직원은 육아휴직 및 육아시간 활용”, “실질적인 임금 감소가 있다보니 일부 임금보전이 가능한 육아휴직 사용률 높은 것으로 판단으로 나타났다.

 

이에 강은미 의원은 저출생고령화 해결이 핵심과제인 보건복지부와 복지분야 산하기관의 육아휴직 현황이 저조하다는 것 자체가 심각한 문제라며 산하기관 육아휴직 사용율에 따른 인센티브제와 기관평가 반영 등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올해 5월 인사혁신처가 발표한 국가공무원 육아휴직에 따르면 지난해(2021) 육아휴직을 사용한 국가공무원 12,575명 중 남성 육아휴직자가 5,212명으로 (41.5%) 처음으로 40%를 넘었다. 201722.5(1,885), 201829.0%(2,652), 201933.9%(3,384), 202039.0%(4,483)으로 최근 3~4년사이 큰 폭으로 늘었다.

 

 

 

 

 

 

<> 최근 5년간(2018~2022.9) 복지분야 산하기관 육아휴직 현황

(단위: ,%, )

 

 

남 성

여 성

합계(남성+여성)

대상자

이용자

이용률

(%)

평균휴직기간()

대상자

이용자

이용률

(%)

평균휴직기간()

대상자

이용자

이용률

(%)

평균휴직기간()

아동권리보장원

15

3

20.0

440

35

23

65.71

586

50

26

52.0

569

사회복지공동모금회

41

8

19.5

337.2

51

58

113.7

314.8

92

66

71.7

326

인구보건복지협회

12

2

16.7

365

38

36

94.7

340

50

38

76.0

341.2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8

3

10.7

286

33

26

78.8

591

61

29

47.5

560

한국보건복지인재원

48

14

29.2

299

52

44

84.6

571

100

58

58.0

499

한국보육진흥원

18

3

16.6

295

333

182

54.6

327.3

351

185

52.7

326.7

한국장애인개발원

49

19

38.8

164

51

43

84.3

341

100

62

62.0

287

총 계

211

52

21.6%

312.3

593

412

82.3%

438.7

804

464

60.0%

415.5

 

 

<> 최근 5년간(2018~2022.9) 복지분야 산하기관 출산휴가 현황

(단위: ,%, )

 

 

남 성

여 성

합계(남성+여성)

대상자

이용자

이용률(%)

평균휴가기간()

대상자

이용자

이용률(%)

평균휴가기간()

대상자

이용자

이용률(%)

평균휴직기간()

아동권리보장원

3

3

100

9

15

15

100

92

18

18

100

78

사회복지공동모금회

41

41

100

8

51

51

100

90

92

92

100

49

인구보건복지협회

8

8

100

10.5

38

38

100

87.6

46

46

100

77.1

한국노인인력개발원

10

10

100

10

17

17

100

90

27

27

100

50

한국보건복지인재원

25

25

100

10

34

34

100

90

59

59

100

50

한국보육진흥원

2

2

100

9.5

64

64

100

68.09

66

66

100

66.32

한국장애인개발원

33

33

100

7.5

28

28

100

94.3

61

61

100

47.4

총 계

122

122

100%

9.21

247

247

100%

87.4

369

369

100%

59.6

 

 

<> 최근 5년간(2018~2022.9) 복지분야 산하기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현황

(단위: ,%, )

 

 

남 성

여 성

합계(남성+여성)

대상자()

이용자()

이용률(%)

평균시간

대상자()

이용자()

이용률(%)

평균시간

대상자()

이용자()

이용률(%)

평균시간

아동권리보장원

15

1

6.6

2

17

2

11.7

2

32

3

9.3

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41

0

0

0

51

7

13.7

1.6

92

7

7.6

0.8

인구보건복지협회

12

2

16.7

1

38

6

15.8

2.8

50

8

16.0

2.4

한국노인인력개발원

28

0

0

0

33

0

0

0

61

0

0

0

한국보건복지인재원

48

1

2.1

4

52

1

1.9

5

100

2

2.0

4.5

한국보육진흥원

18

0

0

0

333

2

0.6

2.5

351

2

0.56

2.5

한국장애인개발원

49

0

0

0

51

8

16.0

2.5

100

8

8.0

2.5

총 계

211

4

3.6%

1

575

26

8.5%

2.3

786

30

6.2%

2.1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