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 [류호정 국정감사 보도자료] 윤정부, 말뿐인 ‘스포츠 복지실현’…스포츠등급분류사 관련 예산 삭감


 
- 국내 장애인스포츠 등급분류 규정 국제 기준과 달라선수들 피해 지속
- 선수를 위해 ·내외 스포츠등급분류사 양성 전문과정 반드시 필요
- 윤정부, ·내외 스포츠등급분류사 양성 예산 삭감 재고려 해야

 

 

국내 장애등급분류 규정이 국제 기준과 달라 우리나라 장애인 스포츠 선수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출전 부적격 판정을 받고 은퇴한 선수도 있었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정의당 류호정 의원은 정진완 대한장애인체육회 회장을 상대로 국내 장애인스포츠 등급분류와 관련한 질의를 했다.
 

장애인스포츠 등급분류는 선수들의 경기 참가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기본적인 요건으로써 동일 조건에서 공정 경쟁할 수 있도록 장애유형 및 운동능력에 따라 선수를 분류하는 체계다. 현재 30개 종목단체 중 17개 단체는 등급분류 운영규정을 미제정하였고 12개 단체는 등급분류위원회를 미구성한 한 상황이다.
 

이날 국정감사에서 류호정 의원은 국내 장애등급분류 규정이 국제 기준과 달라 열심히 대회를 준비했던 선수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그동안 관리체계가 미흡했고 예산이 부족해 국제등급분류사를 양성하지 못했다며 예산 상황에 대해 말했다.
 

또한 국제등급분류사가 되는 데 의학전문자격증이 필수 조건은 아니다. 선수의 몸 상태, 경기 환경 등 다각도로 접근 가능한 선수 출신이 전문 의학 지식을 교육받고 관련 분야에 취업한다면, 은퇴 선수들의 취업 기회도 확대되고 선수들이 쉽게 등급분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국·내외스포츠등급분류사 양성을 위한 5억 중, 반을 삭감한 상황에 대해서는 “‘모두를 위한 스포츠, 촘촘한 스포츠 복지 실현에 대해 패럴림픽 선수들에게 약속했던 적이 있지 않느냐. 내년 예산이 긴축예산이라곤 하지만 이런 예산은 절대 삭감돼서는 안 된다며 국정감사가 끝난 이후 예산 심의 때 관련 예산에 대해 더 신경을 쓸 것을 약속했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