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부평구위원회

  • 미군기지 설명회 논평에 대한 일부 언론보도 스크랩

관련한 기사가 연합뉴스와 지역언론 곳곳에 게시되었는데
스크랩 하기가 넘 어려워서 두곳만,,,

인천일보 - "부평 미군기지 반환연기 반대"

지역 시민사회단체, 시·구에 '적극협상' 촉구

2016년 05월 23일 00:05 월요일

인천 시민사회단체가 부평미군기지 반환 연기에 반발하고 나섰다. <인천일보 5월20일자 2면>

인천평화복지연대와 부평미군기지 반환 인천시민회의는 22일 성명을 내고 "인천시와 부평구는 조속한 미군기지 반환에 적극적으로 임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지난 19일 부평구청에서 열린 '부평미군기지 반환 주민설명회'에서 공식화된 미군기지 반환 시기 연기를 비판했다.  

단체는 "이날 인천시는 미군기지 환경오염 정화 논의에만 2~3년이 걸리고 이후 환경오염 정화에 다시 1~2년이 걸린다고 밝혔는데, 시 발표대로라면 최소 2020년이 돼야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2006년 폐쇄돼 2014년 시민 품으로 돌아온 부산 하야리아 기지와 비교할 때 부평미군기지 반환 문제는 아무런 진척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날 설명회에 참여한 주민들은 미군기지 관련 기구에 주민 참여를 보장·확대해야 한다고 건의했다"며 "시와 부평구는 다른 자치단체의 사례처럼 공원 추진과정에 민·관·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라운드테이블' 운영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들은 또 "부평미군기지는 한미 협의에 따라 반환 시기가 더 늦춰질 수 있는 만큼 시와 구가 협상에 보다 적극으로 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

 
[인천뉴스] 부평미군기지 반환 연기 여야민정 협의기구 통해 대책마련해야
시민단체 "미군기지 관련 기구에 주민 참여 확대"요구
 
2016년 05월 23일 (월) 14:44:32 양순열 기자  press@incheonnews.com
 
 

 

   
 

부평미군기지 반환 인천시민회의와 부평평화복지연대는 "부평미군기지는  2020년이 되어야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며 "부산 하야리아 기지는 2006년에 폐쇄되고 2014년에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왔다. 부평 미군기지는 2002년 반환 발표 이후 지금까지 별다른 진척이 없다"고 비판했다.
<중략>

부평미군기지 반환 인천시민회의(공동대표 김응호)와 부평평화복지연대(대표 김경종)도 지난 22일 인천시민들은 조속한 부평미군기지 반환을 요구한다며 인천시와 부평구는 한미 간의 협상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한다고 촉구했다.

지난 19일 부평구청에서 열린 부평미군기지 반환 주민설명회는 미군기지 반환 추진상황과 앞으로의 활용방안에 대해 인천시 도시계획팀장과 전문가들로부터 듣고, 질의 및 응답 시간을 통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순서로 진행됐다.

하지만 부평평화복지연대 등 시민 단체는  "부평미군기지 반환에 대한 현재까지의 추진상황과 이후 일정 등에 대한 인천시의 설명은 기존에 있었던 설명회 내용과 별반 차이가 없었다"며 "평미군기지의 반환과 공원화 추진은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날 주민 설명회에서 " 미군기지 환경오염 정화 논의에만 2∼3년이 걸리고, 이후 환경오염 정화에 다시 1∼2년이 걸린다"며 캠프마켓 평택  이전 시기도 2018년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부평미군기지  캠프마켓은 지난 2002년 한·미 연합토지관리계획(LPP)에 따라 평택으로 2008년까지 이전하기로 결정했으나 평택 미군기지 조성이 늦어져 이전 시기를 내년 6월로 변경한 바 있다.

부평미군기지 반환 인천시민회의와  부평평화복지연대는 "인천시의 발표대로라면 최소 2020년이 되어야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것"이라며 "부산 하야리아 기지는 2006년에 폐쇄되고 2014년에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왔다. 하지만 부평 미군기지는 2002년 반환 발표 이후 지금까지 별다른 진척이 없다"고 비판했다.

설명회에 참여한 주민들은 인천시와 부평구에 설치되어 있는 미군기지 관련 기구에 주민들의 참여를 보장하고 확대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시민단체는 "인천시와 부평구는 부산 하야리아 기지 공원추진 과정에서 민·관·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라운드테이블’이 운영되었던 사례를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이어 "부평미군기지는 한미 간의 협의에 따라 반환 시기가 더 늦춰질 수도 있다. 인천시민들은 조속한 부평미군기지 반환을 요구한다"며 "이를 위해 인천시와 부평구는 한미 간의 협상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한다. 기다린다고 될 일은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참여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