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원교육
  • 당비납부
  • 당비영수증
    출력
  • 당비납부내역
    확인

브리핑

  • HOME
  • 뉴스
  • 브리핑
  • [논평] 도 넘은 대구시의 언론탄압, 어디까지 갈지 두렵기 까지 하다.

[논평] 도 넘은 대구시의 언론탄압, 어디까지 갈지 두렵기 까지 하다.

 

-“폭행 없었다는 대구시 말 아무도 믿지 않아, 언론탄압 하루이틀 아냐

-박정희 동상 세우겠다더니 언론관도 민주주의도 독재시절로 회귀하겠다는 것인가

 

대구시 공무원이 물리력을 동원해 기자의 취재를 방해하다가 상해를 입히고 카메라를 파손하는 등 폭행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다.

상황은 지난 9일 대구컨벤션뷰로 해산 총회 현장, 비공개로 진행되었던 회의가 끝나고 회의장 문이 열린 후였다.

 

폭행 의혹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현장이 물리적 대치로 어수선해서 서로 예민해진 것은 있었지만, 폭행은 말도 안된다면서 사진을 지워달라, 싫다하는 과정에서 그 분이 갑자기 뒤로 누우셨던 일은 있었다. 하지만 폭행이라니 황당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감히 우리가 어떻게 기자를 폭행을 하겠나. 그런 일은 절대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얼핏 양측의 주장이 엇갈린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대구시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는 사람은 별로 없는 듯 하다.

대구시가 지금까지 언론을 대하는 태도가 그랬기 때문일 것이다.

홍준표 시장 취임 이후 홍시장과 대구시는 언론의 자유를 부정하고 탄압해왔다.

대구MBC에 대한 취재거부와 법적다툼, 연합뉴스에 대한 구독중단, 오마이뉴스에 대한 취재거부와 광고중단 등 자기 입맛에 맞지 않거나 대구시에 비판적인 기사를 쓰는 언론에 대한 탄압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다.

 

언론의 자유는 단순히 언론사와 기자의 자유가 아니다. 시민의 알권리 보장을 위한 것이다.

대구시의 언론 자유 부정과 탄압은 시민의 권리를 제한하는 것에 다름 아닌 이유다.

박정희 동상을 세우겠다던 대구시가 언론관도 민주주의도 독재시절로 회귀하려는 것 아닌지 씁쓸하다. 아니, 어디까지 갈지 두렵기 까지 하다.

 

대구시는 도를 넘은 폭주행정을 당장 멈추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에 많은 권한을 위임한 것은 이를 무소불위의 권력으로 사용하라는 것이 아니다. 대구시는 시민과 언론 위에 군림할 수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

대구시는 폭행 의혹에 대해 명명백백 사실관계를 밝히고, 사과와 함께 관계자들을 징계하라. 또한,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

 

2024516

정의당 대구시당

 

참여댓글 (0)